나옹화상

관리자
2020-03-26
조회수 1317

스님의 법명은 혜근(惠勤), 나옹은 법호이며, 평생을 거의 강월헌(江月軒)이라는 거실(居室)에서 살았다.

20세 되던 해 절친했던 친구의 죽음을 겪고 느낀 바 있어 출가하였다. 28세가 되었을 때 중국으로 건너가 당대 최고의 고승(高僧)인 지공화상(指空和尙)에게서 법을 들었다. 귀국 후 왕사(王師)에까지 올랐으나 언제나 한 벌의 헐은 도포와 발우(鉢盂)만을 가지고 살 만큼 청빈하고 높은 인품을 지닌 스님이었다.

스님은 가송(歌頌)을 많이 남겨 우리나라 가사문학(歌辭文學)의 효시이기도 하지만 누구보다 시를 사랑한 다인(茶人)이기도 하다. 차를 가까이 하면서 다인의 생활로 일관한 그의 삶의 모습은 다음의 시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.

소나무 그늘이 드리운 창가의 고요함과
언제나 돌확에 고이는 맑은 물과
다리 부러진 솥 속에 차 끓이는 재미 족하니
어찌 명리와 영화를 구하고자 하리

이 시에는 깊은 산중이나 높은 산위에 자리한 조그마한 암자에 살며 청빈과 한적함을 좋아했던 스님의 소박한 마음과 세속의 욕망을 초월한 높은 인품이 잘 묘사되고 있다.

또 다른 한 편을 보면,

본래 스스로 천연하고 조작한 거싱 아니거늘
어찌 수고로이 밖을 향하여 따로 도를 구할까
다만 이념할 마음의 일이 없다면
목마를 때 차 마시고 졸음 올 때 잠자리라.

이 시에는 범부중생(凡夫衆生)의 생활과 대조되어 해탈한 스님의 삶의 모습이 잘 나타나고 있다. 욕심과 번뇌망상(煩惱妄想)에 휩쓸려 일에 묻힌 소인배들은 진종일 하여도 할 일이 남아 있으나 해탈장부(解脫丈夫)란 마음에 두어야 할 일이 없다. 다만 목마르면 차를 끓여 마시고 졸음이 온다면 편안하게 누워 잠을 잘 수 있는 것만으로 만족한다. 이런 자연에 따른 삶을 즐기는 스님의 모습이 이 시에는 잘 묘사되고 있다.